회원가입

변혁정치

> 변혁정치
58호 사회변혁노동자당 2018.01.15 10:41

노랑쐐기나방

 

찬바람 부는 한겨울, 거리에서 빨라지려는 걸음을 애써 늦추고 길가 가로수나 산울타리를 바라보면 겨울을 나는 곤충을 볼 수 있다. 버스정류장 옆에서 자라는 가죽나무 줄기에는 진흙을 발라놓은 것 같은 꽃매미 알집이 보인다. 그 옆엔 지난가을 살아 있을 때 자세 그대로 죽은 꽃매미가 말라붙어 있다. 잎이 떨어진 겨울에 더 아름다운 흰말채나무 붉은 가지에는 노랑쐐기나방 고치가 붙어 있다. 바로 옆 가지에도 고치 몇 개가 붙어 있다. 흰말채나무처럼 산울타리로 심은 쉬땅나무에도 노랑쐐기나방 고치가 보인다.

노랑쐐기나방 고치는 여름 내내 흰말채나무, 쉬땅나무 잎을 먹고 자란 노랑쐐기나방 애벌레가 겨울을 나기 위해 가을에 몸에서 실을 내어 만든 것이다. 노랑쐐기나방 애벌레는 감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대추나무 같은 과일나무 잎을 갉아먹어 농가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먹성 좋은 노랑쐐기나방 애벌레는 참나무, 포플러, 버드나무, 느릅나무, 단풍나무, 배롱나무, 장미뿐 아니라 흰말채나무와 쉬땅나무 잎도 먹기에 도시 공원이나 길가에서도 잘 살아간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쐐기나방 종류는 고치 때문에 가장 많이 알려진 노랑쐐기나방을 비롯해서, 장수쐐기나방, 흰점쐐기나방, 꼬마쐐기나방, 흙색무늬쐐기나방 따위 25종이 알려져 있다. 쐐기나방 종류는 몸집이 크지 않는 나방이다. 노랑쐐기나방은 여름밤 불빛에 잘 날아든다. 불 켜진 상가 유리창이나 공원 가로등에 날아들거나, 가끔 집 안으로 날아든 나방을 잘 살펴보면 몇 종류 쐐기나방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쐐기나방 애벌레를 쐐기라고 한다. 쐐기는 온몸에 독이 있는 가시가 돋아 있다. 그 가시에 쏘이면 불에 덴 것처럼 무척 쓰리고 따갑다. 쏘는 벌레라서 쐐기라 불리게 되었고, 쐐기나방이란 이름도 애벌레 이름인 쐐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쐐기에 쏘인 경험은 쉽게 잊히지 않는다. 나뭇잎에 슬쩍 스치기만 했는데도, 잎에 붙어 있던 쐐기에 쏘여서 고생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흰말채나무에 붙은 탱긍탱글한 노랑쐐기나방 고치에서 가시 돋은 쐐기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흰색 바탕에 밤색 무늬가 새겨진 고치는 꼭 피마자 씨 같기도 하고, 작은 새알 같기도 하다. 밤색 무늬는 고치마다 조금씩 다르다. 어떤 고치는 밤색 무늬가 없고 온통 하얗거나 밤색이다. 노랑쐐기나방 애벌레가 고치를 만드는 모습을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생태사진작가 이마모리 미쓰히코가 만든 <곤충일기>(진선출판사)에서 사진으로 보았다. 독학으로 사진을 배운 그는 특별한 곳이 아니라 집 근처 어딜 가나 볼 수 있는 흔해 빠진곳에서 곤충을 관찰하고 사진을 찍어서 특별한 책을 엮어 냈다. 책에서는 한나절이 꼬박 걸리는 노랑쐐기나방 애벌레가 고치 만드는 과정을 여러 장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다. 삐쭉삐쭉한 가시가 실그물에 쌓여서 점점 사라지고 맨질맨질한 고치로 바뀌어간다. 애벌레는 자기 몸보다 더 작을 것 같은 고치 속에 몸을 감춘다. 책에는 노랑쐐기나방 고치에 대한 찬사가 나온다. 노랑쐐기나방 애벌레가 방한, 방습, 강도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난 경이로운 캡슐을 만들고 있다 …… 완성된 노랑쐐기나방 고치는 표면이 석회질로 되어 있어서 매우 단단하다. 곤충 중에 이만큼 단단한 고치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없다. 고치는 다양한 모양으로 하나하나가 다 무언가를 의미하고 있는 것 같다. 눈에 띄지 않는 모양이지만 소박한 아름다움이 나를 매혹시킨다. 멋진 도예품을 보는 것 같다.”

노랑쐐기나방 애벌레는 고치 속에서 겨울을 나고, 5월에 번데기가 되었다가, 한 달쯤 지나 어른벌레가 되어 고치 위쪽을 뚫고 나온다. 그런데 어떤 고치에서는 나방 대신 맵시벌이나 청벌 따위가 나오기도 한다. 이런 기생벌 어미는 어떻게 단단한 고치를 뚫고 알을 낳았을까? 노랑쐐기나방 애벌레가 고치를 만들기 전 혹은 고치를 만들고 있을 때나 만든 고치가 딱딱하게 굳어지기 전 어느 때 산란관을 꽂고 알을 낳았을 것이다. 흔해 빠진 일상 속에 감추어져 있는 것을 찾아내려면 노랑쐐기나방이 단단한 고치를 뚫고 나와 날아오르듯 익숙한 것을 버리고 낯설게 보아야 한다.

  58-벌레이야기58.jpg


그림 강우근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