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변혁정치

> 변혁정치

변혁정치_115_표지-1.jpg



코로나와 ‘미래 교육’,

누구를 위한 미래인가


고등학교에 다닐 무렵, 수능 인터넷강의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당시는 스마트폰이 나오기도 전이라 인강을 들으려면 컴퓨터를 쓰거나 PMP 같은 별도 휴대용 기기를 사야 했지만, 꽤 많은 학생이 인강을 시청했다. 학교 수업과 입시 준비는 완전히 분리됐다.


이렇듯 15년 전쯤부터 학교와 분리된 채 성장하던 인터넷강의 산업이 이제 공교육 체계 자체를 역으로 규정하게 될 듯하다. 이번 호 <변혁정치>는 “이슈”로 코로나 이후 변화하는 교육(초중등, 대학 포함)의 현실과 문제점을 다뤘다. 정부가 ‘디지털’, ‘스마트’, ‘혁신’ 등 갖은 수식어를 붙여 포장하고 있는 이른바 ‘미래 교육’은 결국 원격교육을 전면화하면서 산업화‧상품화하고, 교육 부문 노동자들의 노동유연성을 가일층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사실 EBS가 표방했듯, 원격교육 ‘자체’는 제한적으로나마 교육에서 소외된 이들에게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 연결 등 충분한 기술적 기반을 함께 보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별도의 돈을 받는 게 아니라 국가 책임으로 서비스한다면 말이다. 대학 강의 역시 특정 학교에 입학해서 비싼 등록금을 지불해야만 듣고 볼 수 있는 게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누구나 자기 휴대폰으로 아무 제약 없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면 지식을 둘러싼 특권의 테두리를 걷어내고 사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번에도 기술은 ‘자본주의적 활용’으로 온갖 문제를 야기한다. 교육을 사회화할 수 있는 물질적 조건을 가져다가 오히려 교육 공동체를 파괴하고 교육 부문에서 비정규‧불안정 노동을 양산하는 데 쓴다. 우리가 정부정책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교육기관 국‧공유화를 주장하며 교육의 탈 상품화를 요구하는 이유다. 

변혁정치_115_내지1.jpg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