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변혁정치

> 변혁정치

잃어버린 장애인 활동지원사 

노동권을 찾아서

 

전인표(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장애인 활동지원지부 울산지회)울산

 



먼저 내가 활동을 시작하게 된 이야기로 말문을 열어볼까 한다. 나는 2014년 초 금속노조 울산지부 현중사내하청지회(현 현대중공업지부 사내하청지회)에 가입하면서 노동운동에 첫 발을 내딛었다. 처음 접한 노동운동이다 보니 활동 역시 멋모르고 주먹구구식으로 시작했던 것 같다. 그 뒤 적지 않은 시간을 지역 활동 전망 찾기에 골몰했다. 생계에 대한 걱정, 현장투쟁에 대한 갈등과 불안으로 혼란스러웠던 적도 많았지만, 여러 동지들이 자기 일처럼 도와준 덕분에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다.

 

시장에 내맡겨진 돌봄노동의 현주소

그러던 어느 날 지역의 한 동지로부터 장애인 활동지원사를 해보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받았다. 혼자서 한참을 고민하다 결국 선배활동가인 정원현 동지와 장애인 당사자인 박회송 동지에게 직접 조언을 구해보기로 했다. 두 동지 모두 내가 현장 활동을 재개했으면 한다는 의견이었지만, 당장 생계가 막막하니 일단 활동지원사 일을 해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의견을 주었다. 그래서 20184월에 교육을 받고 5월 말부터 박회송 동지의 주말 활동지원을 맡아 활동지원사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여태껏 공장 일만 하다가 풋내기 활동지원사로 거듭난 내게 활동지원사 임금체계는 가히 충격적이었다. 2018년 바우처 수가가 10,760원인데, 여기에서 25%는 장애인 활동지원센터의 운영자금으로 선 공제되기 때문에 실 수령 기준 시급은 8,200원이라고 보면 된다. 2018년 최저시급이 7,530원이니 최저시급보다 훨씬 높은 거 아니냐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그런데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연장수당, 주차수당은 꿈도 꿀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상 최저시급에 미달하는 임금을 받고 일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첫 월급명세서를 받아든 순간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니, 이 사람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착취를 당하며 일을 해온 거야?’ 비록 센터라는 민간위탁 한 단계를 거치지만, 국가에서 운영하는 일의 임금체계가 이렇게 열악해서야 되겠나 싶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들에게야말로 노동조합이 꼭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도 그때 처음 갖게 되었다. 정원현 동지와 박회송 동지에게도 활동지원사 노동조합이 필요하다는 내 생각을 전했다. 두 동지는 노동조합을 만든다는 게 얼마나 어렵고 힘든 일인지 염려하면서도 내 곁에서 함께 돕겠다며 응원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노동조합을 출범하기까지

노동조합을 하겠다는 선언은 했지만 막상 시작하려니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다. 그 즈음 공공운수노조 울산본부의 동지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고 이런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울산에 활동지원사 노동조합을 만들려고 하는데, 전 동지가 활동지원 일을 한다면서요? 우리와 함께 해보지 않을래요?”

막막하던 찰나 가뭄에 단 비 같은 소식이었다. 마침 고민 중이었는데 너무 반갑고 고마운 일이라며 화답했다. 며칠 뒤 박회송 동지의 활동지원 일을 담당하는 정춘화 님을 공공운수노조 담당 동지에게 소개해드리고 간담회를 잡았다. 그간 활동지원사들이 겪어야 했던 현장의 노동착취 문제와 다양한 고충을 나누는 자리였다. 연장근로 포기 서명 강요, 휴게시간 노동, 센터의 지시를 따르지 않으면 이용자와 갈라놓겠다는 공공연한 협박까지, 그간의 상황을 직접 들어보니 내가 노조를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던 문제보다 훨씬 심각한 현실을 마주할 수 있었다.

간담회 이후에는 노조 설립과 활동방향을 논의하는 회의를 주 1회 박회송 동지의 집에서 진행했고, 이 회의에서 설문조사와 노조가입 캠페인을 공공운수노조 차원에서 진행하자고 뜻을 모았다.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장애인 활동 자립센터의 센터장은 공공운수노조에 항의전화는 물론 항의방문까지 하면서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우리는 센터장의 즉각적인 반응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기로 했다. 우리가 지금 해야 할 일을 계속하는 것이 그보다 훨씬 중요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활동지원사들의 업무 공간이 흩어져 있는데다가 이용자(장애인)에게 매여있는 시간이 길다 보니 한날한시에 모이는 것부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노조 설립 움직임에 맞선 센터의 대응은 이미 시작됐는데, 이대로 있다가는 출범도 못해보고 당하고 말겠다는 위기감이 엄습했다. 일단 노조를 출범하고 조합원 가입운동과 임금체불 소송인단을 모집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지난 110일 노동조합 출범식을 가졌다. 아직 가야 할 길이 멀고 험난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뛰어볼 참이다. 21일에는 노조 출범 후 첫 공식 일정으로 노조가입 선전전을 센터 앞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활동지원사들은 매달 초 활동일지를 제출하기 위해 센터 방문을 해야 하는데, 활동지원사들에게도 노조가 생겼다는 사실을 알릴 더없이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내 새로운 벗들이자 동지들을 만날 생각에 벌써부터 가슴이 벅차오른다.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