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변혁정치

> 변혁정치

전노협의 조직 체계와 민주노조 운영 원칙

 

정경원노동자역사 한내

 


64-이땅노동운동사01.jpg

△ 전노협 중앙위원회의 모습. 전노협의 각종 회의는 노동자와 학생, 노동단체 활동가들의 힘으로 사수되었다.



전노협은 출범과 동시에 조직 사수를 최대 과제로 내걸 만큼 정권의 탄압을 집중적으로 받으면서도 민주노조의 운영 원칙과 체계를 세우는 데 힘을 쏟았다. 노동조합 중심으로 조합원이 집결하는 것이 투쟁력 확보의 첫걸음임을 알았기 때문이다.

 

전노협 의결집행 구조

전노협 대의원대회는 연 1, 중앙위원회는 월 1회 개최되었다. 집행기구는 정책실과 편집실, 그리고 총무국(총무부, 재정부), 조직국(조직부, 선봉대), 쟁의국(투쟁기획부, 쟁의지도부), 교선국(교육부, 선전부), 문화국(문화부), 조사국(조사통계부, 법규부), 여성국(여성부), 후생국(산업안전부, 복지부), 연사국(국내부, 국제부) 29국으로 출발했다(1994214국으로 분화).

전노협에는 위원장·부위원장·사무총장·사무차장뿐 아니라 지도위원 2~3명이 상근했고 부서에 40명 이상이 활동했다. 국장들과 위원장·사무총장·사무차장·지도위원이 참여하는 회의가 주 1회 열렸으며 부서 회의는 수시로 열렸다. 그리고 월 1회 사무총국 전체 회의를 통해 정세와 사업내용을 공유하고 토론했다.

이 외에도 노동절대회나 노동자대회 등은 대회조직위원회를 별도 구성했다. 이는 전노협에 가입하지 않은 업종 노조뿐 아니라 민중운동 세력인 농민, 빈민, 학생, 민주단체까지 포괄하는 체계였다. 또 임단투, 법 개정, 노동운동 탄압 분쇄 등 사안별 투쟁본부를 구성하기도 했다.

실국 체계에서 눈에 띄는 것은 선봉대, 투쟁기획부, 쟁의지도부다. 이는 당시 정권의 탄압에 맞서 전노협 사수 투쟁을 중심에 놓아야 했던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총무국에 재정부를 두어 의무금 외 별도 재정사업을 했으며, 조사통계부의 비중이 커 조합원 노동실태·의식조사, 시장물가조사 등이 이뤄졌던 점도 주목할 만하다.

대회조직위원회 구성을 보면 전노협의 노동자대회가 소속 조합원들의 이해와 요구만을 모아내는 것이 아니라 전 노동자, 나아가 민중운동진영의 요구를 집약했으며 전노협을 중심으로 전체 운동진영이 결집했음을 알 수 있다.


전노협의 가방끈 긴 사람들

전노협의 의결기구 구성과 대회 성사 과정을 통해 조직운영 원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노협의 임원뿐 아니라 실장과 국장 중 일부는 그 소속 사업장과 지역의 논의를 거쳐 전노협에 상근했다. 이는 전노협의 기반이 현장과 지노협의 상황을 존중하고 조직력을 중시하는 원칙을 반영한 것이다.

전노협의 전국 단위 회의로 중앙위원회 뿐 아니라 각 부서 회의를 열었는데 이는 부서별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고, 지역과 중앙의 소통구조를 다양하게 한 것이기도 했다. 지노협의 상황이나 논의 결과는 지노협 의장을 통해 중앙위원회로, 각 부서장들을 통해 전노협 각 실국으로 수렴되었고 전노협의 논의 결과 또한 여러 통로와 전문적 집행을 통해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대의원대회 구성을 보면, 조합원 1만 명 이하인 경우 조합원 100명당 1, 1만 명 이상인 경우 초과분은 500명당 1명을 추가 배정했다. 소수 조직의 의견 보장과 작은 사업장이라도 최소 1명씩의 대의원을 낼 수 있도록 보장한 것이다. 이 원칙은 중앙위원 구성에도 같이 적용되었으며 전노협의 의결기구에는 해고자도 포함했음을 주목할 만하다.

전노협은 대의원대회를 준비하면서 단위사업장까지 의견을 수렴하고자 노력했다. 전노협은 한 달 전 대의원을 배정하고 지노협은 대의원을 선출한다. 파견대의원 수련회를 열어 사업평가, 계획을 미리 논의하여 실질적 회의를 보장했다. 대의원대회뿐 아니라 사전 수련회는 미가입 노조도 참관할 수 있도록 했다. 실례로 199115일부터 16일까지 19개 지역, 지구에서 총 553명이 참가하는 수련회가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지노협뿐 아니라 지역협의회 준비위, 연대모임, 노동조합민주화활동추진위원회 등의 대표자들도 참여했다.

대의원대회 성사를 위해 선봉대는 선동조, 전투조, 경호조를 구성했다. 대회를 앞두고 현장을 순회하며 전노협의 주장을 알리며 선동하고, 일주일 전부터 대의원 상경을 위한 전술을 짜고 당일 대회장 밖을 지켰으며, 수배 중인 지도부가 안전하게 대회를 마칠 수 있도록 보위했다. 19911월 열린 대의원대회를 위한 사수대는 전노협 172, 학생 261, 기타 단체 85명 등 총 518명에 이른다. 이들의 노력으로 전노협 대의원들은 서울의 모든 대학을 졸업한 가방끈 긴 사람이 될 수 있었다.

중앙위원회 회의라고 다르지 않았다. 대부분 수배자였기 때문에 회의 장소를 알리는 일은 인편으로 했으며 꼭 경호조가 붙었고 며칠 전부터 학교에 들어가 숙식하며 회의를 사수했다. 그런 엄혹한 상황에서도 중앙위원회 참여자들은 지역의 논의를 전제로 참여하는 게 기본이었다.

 

[참고자료]

- 전노협백서발간위원회, <전노협백서3>, 2003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