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당원광장

자료실

자유게시판 마르크스

2017.09.12 23:07

마르크스 조회 수:100

마르크스 l 레닌 전집 58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지은이) | 양효식 (옮긴이) | 아고라 | 2017-07-31


마르크스.jpg


bd_t05.gif

레닌 전집 58권. 옛 소련에서 펴낸 프로그레스 판을 저본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레닌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바로 자본주의에 있다. 현시기 자본주의의 독주와 횡포는 지구적 위기와 공포를 일상화시켰다.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사회주의를 최초로 건설한 레닌주의의 복원은 우리의 삶과 직결된 문제이며, 그 대안을 찾는 여정인 것이다.

레닌은 1차 세계대전의 참상과 이에 동조했던 공식 사회민주주의 진영과의 투쟁을 통해 자신의 이론과 사상을 재정립하였다. 제2인터내셔널로 대표되는 공식 사회민주주의 진영이 자국의 전쟁 승리를 위해 부르주아 계급과 함께할 때 레닌은 “제국주의 전쟁 반대”, “전쟁을 내란으로 전환시키자”는 주장을 하며 혁명적 사회주의 진영을 대변했다.

< 마르크스>는 1914년 8월부터 그 해 말까지 씌어진 글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작 「마르크스」는 레닌이 마르크스의 인생과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간략하게 개괄한 전기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교과서와 같은 글이다. 그 밖에 다른 글들은 모두 1차 세계대전을 다루고 있다. 이 전쟁은 노동자계급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도 절박하고 중대한 도전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당시의 레닌의 글들이 ‘전쟁’을 주목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bd_t06.gif

유럽 전쟁에서 혁명적 사회민주주의의 임무
유럽 전쟁과 국제사회주의
전쟁과 러시아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현황과 임무
《포어베르츠》와 빈의 《노동자 신문》에 보내는 편지
마르크스
전쟁에 관한 한 독일인의 소리
죽은 배외주의와 살아있는 사회주의
대러시아인의 민족적 긍지에 대하여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bd_t07.gif
P.54 : 전쟁은 우연히 일어나는 사건이 아니며, 기독교 목사들(애국과 인류와 평화를 설교함에 있어 조금도 기회주의자들에게 뒤지지 않는)이 생각하는 것과 같은 '죄악'이 아니다. 전쟁은 자본주의의 불가피한 단계로서, 평화만큼이나 자본주의적 생활방식의 적합한 형태다. 오늘날의 전쟁은 인민의 전쟁이다. 이 진실로부터 나오는 결론은 우리가 '인민적'인 배외주의 흐름과 함께 헤엄쳐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민족을 분할하는 계급모순이 전시에도 계속해서 존재하고 전쟁의 조건 속에서 스스로를 발현시킨다는 것이다. 병역거부나 반전총파업 등은 정말 어리석은 짓이며, 무장한 부르주아지에 맞서 비무장으로 싸우려고 하는 가련하고 겁먹은 몽상이고, 필사적인 내란 또는 일련의 전쟁들 없이 자본주의가 파괴되기를 바라는 헛된 소망이다. 군대에서도 계급투쟁에 대한 선전을 수행하는 것이 모든 사회주의자들의 의무다. 민족들의 전쟁을 내란으로 전화시키는 방향으로 바꿔나가는 것, 이것이 모든 나라 부르주아지의 제국주의적 무장충돌의 시대에 필요한 유일한 사회주의적 활동이다.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평화를!'이라는 역겁게 경건한 체하는 얼빠진 호소를 타도하라! 내란의 깃발을 치켜들자!


bd_t08.gif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겨레 신문 2017년 8월 24일자




bd_t09.gif

p_dot.gif 최근작 :<마르크스>,<제2인터내셔널의 붕괴>,<사회주의와 전쟁> … 총 13종 (모두보기)
p_dot.gif 소개 :
본명 블라디미르 일리치 울리야노프. 인류 최초의 성공한 노동자계급 혁명인 러시아 혁명을 지도하여 소련의 초대 국가원수가 되었다. 마르크스 이후 가장 위대한 혁명사상가이자 역사상 가장 뛰어난 혁명지도자로 인정받고 있다.
1870년 볼가 강변의 심비르스크에서 교육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나로드니키 운동에 참여했던 맏형 알렉산드르가 차르 암살 혐의에 연루되어 1887년 처형당한 것을 계기로, 반차르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에 관심을 갖게 된다. 같은 해 가을 카잔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으나 불법집회에 참석했다가 제적당하고, 그후 추방된 혁명가들과 사귀면서 마르크스주의 사상서를 탐독했다. 1891년 최고 점수로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1893년까지 변호사로 일했다.
이후 혁명 운동에 투신하여 1895년 노동계급해방투쟁동맹을 조직했으며, 체포와 유형의 세월을 거친 뒤 1900년 국외로 망명, 독일 뮌헨에서 플레하노프, 마르토프 등과 함께 《이스크라Iskra》를 창간했다. 러시아 정부의 탄압 때문에 런던에서 열린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당 대회에서 당원 자격 문제를 놓고 플레하노프, 마르토프, 트로츠키와 맞서 직업적 혁명가주의를 관철시킴으로써 볼셰비키(다수파)가 되었다.
1905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귀국했으나 혁명의 실패로 1907년 다시 망명하여 주로 스위스에 머물면서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다가, 1917년 2월 혁명 직후 독일의 봉인열차를 타고 귀국했다. 같은 해 10월 무장봉기로 부르주아 임시정부를 전복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정권을 수립한 다음, 1919년 제3인터내셔널인 공산주의자 인터내셔널(약칭 코민테른)을 결성했다. 1924년 1월 21일 저녁 고리키에서 뇌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사상을 발전시켜 레닌주의를 확립했으며, 세계를 해석하는 틀을 만든 마르크스를 뛰어넘어 세계를 변혁하는 실험에 최초로 성공했던 인물이다. 제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세계 각국의 혁명 운동과 사회주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선전위] 선전작업 요청서 송준호 2020.07.22 26617
1838 [토론회] 세월호 학살, 어떻게 싸울 것인가? (5월 30일/금/7시30분) 노사과연 2014.05.24 167
1837 "한반도 주변국들,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에 셈법 다를 것" [1] 남부노동자협의회 2019.08.19 166
1836 LIVE UPDATES: At Least 49 Killed in Shootings at 2 New Zealand Mosques 농민협회 2019.03.16 166
1835 완전월급제 쟁취 택시지부 고공농성 승리 공공운수노조 결의대회 [1] file 사회변혁노동자당 2018.09.20 166
1834 노동자계급정당 서울추진위 10월 학습토론회에 많은 참여바랍니다. file 라라인 2014.10.20 166
1833 [보도자료] "코로나 19 이후 한국사회 체제전환, 이렇게 바꾸자" 기자회견 자료 file 이승철 2020.05.20 165
1832 Don’t Get Cold Feet: What's Best Thing You Can Do to Protect Yourself From New Coronavirus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2020.01.26 165
1831 세월호 진상조사를 위한 집담회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2020.01.26 165
1830 농민통일선봉대, ‘8월처럼 산다’ 남부노동자협의회 2019.08.16 165
1829 스물두 살 박기순. 1978년, 광주와 들불야학 file 남한노동자운동평의회 2019.05.26 165
1828 K.맑스 <<자본론>> 제1권 제2분책 : 자본의 생산과정 file 계급동맹 2018.08.13 165
1827 사회변혁노동자당 개헌 워크샵 [3] file 사회변혁노동자당 2017.09.12 165
1826 [피켓] 공공부문 파업 피켓 file 사회변혁노동자당 2016.09.26 165
1825 [특보] 바로 지금, 정권과 자본이 강탈한 권력을 되찾아야 합니다 file 사회변혁노동자당 2016.11.07 165
1824 2018 전자공학개론 file 노동동맹 2018.07.15 164
1823 4월 8일 민주노총 대선방침과 사회적 총파업 성사를 위한 공공운수 현장대중토론회 변혁당 토론문 file 사회변혁노동자당 2017.04.10 164
1822 3월 22일 사회변혁노동자당 3월 집중 선전의 날 유인물 file 사회변혁노동자당 2017.03.24 164
1821 반란을 꿈 꾸는 자, 모이자! - 세번째 촛불에 함께해요! [1] 남해금산 2015.01.12 164
1820 파시즘 file 머슴둘레 2017.09.29 163
1819 [강좌] 엄마도 아프다 : 우리 시대의 엄마의 사회학 (강사 로리주희, 김고연주, 이유진, 최시현) [2] 다중지성의 정원 2016.06.27 163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